본문 바로가기

3-1/면역학

면역학 2장 : 면역세포 및 면역기관

면역학 2장 : 면역세포 및 면역기관

 

· 면역세포의 형성

 

위치 : 골수(Bone marrow) : 모든 면역세포의 생성지 (혈액 돌고 있는 모든 세포)

세포 : 조혈모세포

위치 : 혈액

세포 : 림프계(Lymphoid)(innate+adaptive) - B cell (adaptive), T cell (adaptive),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NK cell (innate)

        골수계(Myeloid)(innate) - 호중구(Neutrophil), 호산구(Eosinophil), 호염구(Basophil),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단핵세포(Monocyte), 미성숙 수지상세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+ 적혈구, 혈소판

위치

림프절

조직

세포

B cell (adaptive), T cell (adaptive), NK cell (innate)

대식세포(Macrophagy)(모든 조직. , ...), 비만세포(Mast cell)(호염구)(피부밑), 수지상세포(Dendritic cell), 항원 미성숙 수지상세포

 

B cell 활성화되면 형질세포(Plasma cell)

호중구, 호산구, 호염구는 혈액에 존재. 단핵세포만 조직으로 이동하여 대식세포 .

특징

단순, 적은 과립

복잡, 많은 과립

 

· 면역세포의 종류

 

1) 단핵구(Monocyte)대식세포(Macrophagy)

혈액에서의 양은 단핵구⟩대식세포

- 단핵구가 혈액을 통해 순환. 조직으로 이동하여 대식세포로 분화

- 둘 다 탐식포, 리소좀 가짐

          탐식포 내부 환경이 산성이어야 리소좀과 합체 가능 탐식리소좀

- 대식세포가 크기가 더 크고, 탐식작용능력(phagocytosis)도 더 크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탐식작용(phagocytosis)⟩항원제시(antigen presentation) MHCclass2로 항원제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수지상세포와 동일 기능 : ⟨ )

 

2) 호중구(Neutrophils, PMNs)

호산구, 호염구(비만세포)를 포함하기도.

선천면역세포 중 50%~70%. 매우 많다.

- 혈관외유출(extravasation) : 평소엔 혈액에 존재하고, 조직으로 나오진 않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하지만 상처염증이면, 가장 먼저 염증(조직)으로 이동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탐식(phagocytosis) 고름

 

3) 수지상세포(Dendritic cell, DC)

- 랑게르한스 DC : 피부 상피층에 존재

  간질성 DC : 뇌 제외 온몸(기관과 조직사이)에 존재

  단핵세포유래 DC : 혈액에 존재

  형질세포성세포유래 DC : 항원제시 전문적

- 탐식작용(phagocytosis)⟨항원제시(antigen presentation)

  (대식세포와 동일 기능 : ⟩ )

 

탐식 : 호중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

    항원제시 : 수지상세포 대식세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호중구는 X. 탐식하고 바로 죽음 → 고름

 

4) B cell, T cell

- 항원 만나기 전 : Naive(나이브)

- 항원 만난 후 : B cell - 형질세포(plasma cell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T cell - TC cell (세포독성 T cell) : 상대세포(감염된 세포) 죽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TH cell (조력 T cell) : 상대세포(B세포) 도움 (항체 만들도록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조절 T cell (Regulatory T cell) : TC, TH  면역 과다 시 조절

 

5) NK cell (Natural killer cell)

- 바이러스에 감염됨 세포 사멸

- 선천면역

 

NK cell : 어떤 바이러스든 감염된 세포 모두 사멸

    TC cell : 특정 항원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만 사멸

 

· 면역기관의 종류

 

1) 1차 면역기관 (central, primary lymphoid organs)

- 골수(bone marrow), 흉선(thymus)

- 면역반응은 일어나지 X

 

B cell

T cell

생성

골수

골수

성숙기관

골수

흉선

성숙은 혈액으로 가기 전에. 성숙≠활성

 

2) 2차 면역기관 (peripheral, secondary lymphoid organs)

- 림프절(lymph nodes), 비장(spleen), 피부면역계, 점막면역계(MALT)

- 면역반응 일어남

 

· 림프

- 림프구 : B cell, T cell, NK cell

             혈액, 림프액, 면역기관을 돌아다님

- 림프=림프액 : 림프관을 통해 이동

- (성숙된) 활성 전 B, T cell은 혈액 림프절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림프절에서 면역반응 (B, T cell 활성) 혈액

 

· 림프절에서의 면역반응 (총 과정 1주일)

위치 : 조직(상처부위) - 대식세포, 호중구, 수지상세포 존재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) 항원-수지상세포(Ag-DCs) 항원제시. B, T cell 만나기 위해 림프절로 이동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2) 항원 혼자서도 이동.

위치 : 림프관

위치 : 들림프관 (afferent lymph vessel)

위치 : 림프절 (lymph node) - B, T cell과 만나서 B, T cell 활성. 증식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B, T cell과 함께 날림프관으로 이동.

         Draining lymph nodes (배출림프절) = 감염부위에서 가장 가까운 림프절

위치 : 날림프관 (efferent lymph vessel)

위치 : 림프관

위치 : 가슴림프관 = 가장 큰 림프관

위치 : 혈액(상대정맥)

위치 : 조직(상처부위)

 

· 림프절의 구조

- 들림프관, 날림프관

- 동맥, 정맥 : B, T cell이 혈액을 통해 들어와야 하므로.

- 피질 (Cortex)

- 1차소포 (Primary lymphoid follicle) : 성숙 미감작 B cell 존재.

- 2차소포 (Germinal center) : (TH에 의해) 활성화된 B cell 존재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B cell의 증식, 친화성 선택, 기억 B cell 생성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germinal center은 생기기도, 없어지기도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생긴다면 항상 B, T cell 만나는 곳에 생김.

- 부피질 (Paracortical) : T cell 존재.

- 수질 (Medullar)

- 수질굴

 

1) 수지상세포가 제시하는 항원은 주로 1차소포T cell 활성화 TH cellgerminal cellB cell 활성화.

    2) 항원 혼자서 이동하는 경우 germinal cellB cell 활성화.

 

수지상세포, B cell, T cell이 자연적으로 림프절로 모이진 X. 키모카인에 의해 모임.

 

· 비장

- 백색수질 (white pulp) : 림프구

- 적색수질 (red pulp) : 혈액 여과

- 중앙동맥(혈관)

- T 세포 구역 : . 중앙혈관에 가까운 쪽

- B 세포 구역 (소포) : . 중앙혈관에서 먼 쪽

 

비장은 림프관과 연결 X. 항원이 들어올 통로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.

하지만 혈액에 떠도는 병원체들이 비장에 들어온다. ()HIV) 백색수질에서 처리

적색수질은 혈액 여과, 노쇄한 적혈구 처리.

 

· GALT : 위장관의 점막면역기관

점막면역기관 : MALT

- 편도선 (tonsil)

- adenoid (인두편도)

- 맹장 (appendix)

- Peyer’s patches (파이어판) : 소장 위장관 점막에 위치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상피세포 중 M세포는 접혀진 구조로, 그 사이로 림프구 들어가 있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융털X, 점액층X 병원체가 잘 침입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하지만 M세포만 통과하면 밑에서 큰 면역반응 일어나므로 괜찮다.

 

'3-1 > 면역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면역학 1장 : 면역계의 개요  (0) 2021.01.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