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3-1/면역학

면역학 1장 : 면역계의 개요

면역학 1장 : 면역계의 개요

 

· 면역 : 자기와 비 자기의 구분

 

· 면역반응 : ① 항원인식(recognition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② 인식된 물질 제거(effector function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③ 면역조절(immune regulation) - 잘 안되면 사이토카인 폭풍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너무 심하면 암 걸림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항암제로 사용 : ANTI-PD1, ANTI-CTLA4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④ 기억반응(memory)

 

· 선천면역(자연면역)(innate) vs 적응면역(획득면역)(adaptive)

선천면역이 더 중요

수지상세포가 둘을 이어줌

태어날 때부터 가진 시스템.

ex) 피부, 눈 깜빡임 (물리적 방어)

물리적, 세포적, 화학적 방어

 

비특이적

항원 특이적

빠르다

느리다

기억X → 항상 똑같은 정도로 반응.

기억O

면역세포 : 대식세포, 호중구, NK cell

그 외 : 보체, 인터페론

B cell, T cell

 

백신, 자가면역 가능

 

 

· 적응면역

 

<클론선택설(Clonal selection)>

- B cell, T cell에서 이루어짐

- 항원과 ex) BCR이 완벽하게 들어맞지는 않음. 완벽하게 들어맞게(best fit) 딸세포 생성.

   : 과돌연변이

→ 다른 B세포는 죽고, 해당 수용체를 가진 B세포는 딸세포를 만듦(증식, 분열)

→ 항체 생성 → 일정 항체는 기억력 만듦

 

<자가면역(Autoimmunity)>

- 외부물질이 아닌 자기물질에 대한 반응

  ex) 당뇨병(IDDM,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)

       : 이자 랑게르한스섬 β세포를 T세포가 공격 → 인슐린 생산X

 

<백신(Vaccination)>

- 항체의 양, 시간 모두 2차반응이 높고, 빠르다.

 

· 체액성면역 vs 세포성면역

  둘 다 적응면역에 포함됨

- 체액성면역 : B세포가 생산하는 항체에 의한 반응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항체(면역글로불린)에 의해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주로 세포 외 미생물 : 세균 죽임

- 세포성면역 : T세포에 의해 매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조력T세포( cell) - 체액성면역의 B세포 도와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세포독성T세포 ( cell) - 죽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주로 세포 내 미생물 : 바이러스 죽임

 

· 능동면역(active immunity) vs 수동면역(passive immunity)

둘 다 적응면역에 포함됨

- 능동면역 : 외부물질이 들어왔을 때, 개인이 능동적으로 그에 대항하는 면역반응을 확립한다.

- 수동면역 : 이미 면역성 있는 개인에서 면역성 없는 개인에게 면역세포나 항체 옮겨준다.

 

특이성

O

O

기억력

O

X

속도

시간 오래 걸림

즉각적

artificial

백신

주사

natural

감염

모유 (모유 안에 항체 존재)

 

'3-1 > 면역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